반응형 객체지향3 [Java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] 10. 데커레이터 패턴 - 여러 기능의 조합 상속을 통한 기능의 확장은 각 기능별로 클래스를 추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. -> 각 추가 기능 별로 개별적인 클래스를 설계하고 기능을 조합할 때 각 클래스의 객체 조합을 이용하여 기능의 확장을 하도록 한다. 정의 데커레이터 패턴은 기본 기능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가 많은 경우게 각 추가 기능을 Decorator 클래스로 정의한 후 필요한 Decorator 객체를 조합함으로써 추가 기능의 조합을 설계하는 방식이다. 데커레이터 패턴은 기본 기능에 추가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부가 기능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조합을 동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패턴이다. 여기서 핵심은 컴포지션 관계에 있다. 주로 생성자를 통해서 component를 이어 받는데, 이를 통해서 기본 객체에 살을 덧붙여 갈 수 있다. - Co.. Java/Java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2022. 5. 10. [Java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] 3. SOLID 원칙(SRP, OCP, LSP, DIP, ISP) 3.1 SRP -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: 단일 책임 원칙 객체는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. 책임이란( = 해야하는것, = 할 수 있는 것, = 해야 하는 것을 잘 할 수 있는 것) 핵심적인 책임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SRP를 따르는 설계이다. 책임의 변경 : 코드는 변경되기 마련이다. 한 클래스의 역할이 많아지게 되면 서로 얽히고 설켜서 일부를 수정하기 위해서 전부를 뜯어고쳐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. 이를 대비하여 책임을 분리시켜주어야 한다. ※ 회귀(regression) 테스트 : 어떤 변화가 있을 때 해당 변화가 시스템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는 테스트. 산탄총 수술 - AOP 하나의 책임이 여러 클래스에 분산된 경우. 대표적인 예로 로깅, 보안.. Java/Java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2022. 2. 8. [Java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] 1. 객체지향 모델링 안녕하세요. 펄입니다. Java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에 대한 공부자료를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.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가감없이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. 본 글은 해당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JAVA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- 교보문고 UML과 GoF 디자인 패턴 핵심 10가지로 배우는 | 이 책이 제시하는 핵심 내용객체지향 이론과 UML을 통해 GoF 디자인 패턴의 핵심 10가지를 배운다.이 책의 특징과 장점5단계 학습법으로 디자인 패턴을 www.kyobobook.co.kr 1. 객체지향 모델링 모델의 역할 - 서로의 해석을 공유해 합의를 이루거나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한다. - 현재 시스템 또는 앞으로 개발할 시스템의 원하는 모습을 가시화 한다. - 시스템의 구조와 행위를 명세할 수 있으며 시스템.. Java/Java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2022. 1. 25. 이전 1 다음 반응형